안녕하세요? 부자아빠의 부동산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한국감정원에서 발표한 2월 월간 주택시장 동향을 분석하려고 합니다. 한국감정원은 KB부동산과 다른 흐름을 보일 때가 많은데요, 2월은 어떻게 흘러갔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매매가격
2월 월간 주택종합 매매 가격은 0.34% 상승했습니다. 수도권(0.39% → 0.51%)은 상승폭이 확대, 서울(0.34% → 0.15%)로 상승폭이 축소되었고, 지방(0.17% → 0.18%)은 상승폭 확대되었습니다. 지방의 5대 광역시(0.39% → 0.32%)는 상승폭 축소, 8개도(-0.02% → 0.05%), 세종(1.84% →1.99%)로상승했습니다.
- 서울의 경우에는 1216 대책의 영향으로 고가 단지가 많은 강남권을 중심으로 하락 전환되어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나 강북에 소형 및 중저가 단지 위주로 상승하였습니다.
- 경기 및 인천은 교통호재 및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 지방의 5대 광역시는 울산(0.43%)이 제조업 경기회복으로 상승폭이 확대되었지만 나머지 광역시는 대체로 상승폭이 축소된 모습입니다. 세종은 공급물량이 줄어듬에 따라 높은 상승을 보였으나 제조(-0.25%)는 관광업 악화 및 미분양 증가 등에 따른 하락세가 지속되었습니다.
2. 전세 가격
2월 전국 주택 전세 가격은 0.21% 상승하였습니다. 수도권(0.39% → 0.32%) 및 서울(0.43% → 0.16%), 지방(0.17% → 0.11%)은 상승폭이 축소되었습니다. 지방 5대 광역시(0.31% → 0.25%), 8개도(0.02% → 0.01%), 세종(2.88% → 0.86%) 모두 상승폭이 축소되었습니다..
- 서울(0.16%)은 일부 선호도 높은 인기지역 및 단지의 매물 부족, 역세권 직주근접 수요, 정비사업 이주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되었지만 대다수 지역에서 안정세를 보이며 상승폭이 축소됐습니다.
- 경기 및 인천은 교통망 확충, 정비사업 호재가 있거나 학군 및 편의시설, 접근성 등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했습니다.
- 대전(0.68%)은 지하철 2호선 기대감과 학군 선호지역 위주로, 울산(0.60%)은 조선업 수주량 개선에 따른 근로자 수요 증가로 상승했으며, 세종(0.86%)은 신규 입주물량 감소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지난달 대비 축소되었습니다.
제주(-0.25%), 경북(-0.05%), 전북(-0.04%)은 지역경기 침체와 노후주택 수요 감소에 따른 매물 적체 등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3. 주택거래량
- 전국 주택매매 거래량은 지난달에 비해 소폭 감소했습니다. 전국적으로 비슷한 그래프를 보이네요,
- 전국 주택 전세 거래량은 큰 변동 없이 매매량에 비해서는 많아 보입니다.
4. 평균주택가격 / 중위주택가격
(1) 평균주택가격
(2) 중위주택가격
좋아요와 구독하기는 글 작성에 힘이 됩니다~^^
'부동산 정책 및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3월 2일 기준 주간아파트가격동향(한국감정원) (0) | 2020.03.08 |
---|---|
2020년 3월 2일 기준 주간아파트가격동향(KB부동산) (0) | 2020.03.07 |
2020년 2월 월간주택시장동향(KB부동산) (0) | 2020.03.03 |
0220 부동산대책 주택담보대출 관련 행정지도 및 FAQ 정리(Feat.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대출완벽정리) (2) | 2020.03.02 |
2020년 2월 24일 기준 주간아파트가격동향(한국감정원) (0) | 2020.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