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보고서 살펴보기(1/2) :: 부자아빠의 부동산연구소

안녕하세요? 부자아빠의 부동산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작년에 발표한 2018년 주거실태조사 보고서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주거실태조사는 국민들의 주거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가구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어 부동산 공부에 유용하게 작용합니다.

주거실태조사는 연1회하며, 전년도 자료는 다음 해 중순쯤 나오기 때문에 지금은 2019년 자료는 여름이 되어야 나오고, 2019년 여름에 발표된 2018년 주거실태조사 보고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내용이 방대하므로 1부와 2부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 지역별 가구비율

2018년도 기준으로 우리나라 인구는 약 5180만 명이며, 가구수는 약 2천만 가구입니다. 평균 가구원수는 2.4명이며 1인 가구수는 585만 명으로 전체 비율 중 약 30%를 차지합니다. 

전체 가구 중 지역별 가구 비율을 살펴보면 전체 가구의 약 48%가 수도권에 밀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수도권 전체 인구는 약 2,600만 명으로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산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소득 구분 및 소득별 가구 비율

소득 구분은 가구의 총소득으로 세금 등을 제외한 월평균 실수령액이며, 근로 및 사업소득, 재산소득, 사회보험 수혜금, 정부 보조금, 사적 이전소득 등이 포함됩니다.

2018년도 자료이므로 2017년 1월에서 12월까지의 월평균 금액을 조사한 결과이며,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위 5 분위 평균 급여는 월 270만원, 연 3,240만원이며 5분위 최저 기준인 241만 원 미만인 가구는 전체에 약 40%를 차지합니다. 하위 1~4 분위와 상위 9~10 분위 연 급여는 약 2배가량 차이가 납니다.

 

★ 주택 점유형태

전국의 전세가구는 감소하며, 월세가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도별로 본다면 수도권은 자가 비율이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며, 광역시 및 도지역은 자가비율이 높으며 전세가가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전체 가구의 주택유형은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가 가장 많으며,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0년 전인 2006년도에 에 비해 확연히 단독주택 거주 가구가 감소했습니다.

모든 지역에서 아파트의 거주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소득별 주택유형을 살펴보면 소득 하위 가구일수록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고 소득 상위 가구일수록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2018년도 기준으로 소득 하위 가구가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은 50.6%,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은 29.5%인 반면, 소득 상위 가구는 각각 14.5%, 74.7%를 보이고 있습니다.

 

★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

생애최초로 주택마련을 하는 평균 소요연수는 7.1년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도지역은 6.3년으로 가장 짧았고, 광역시 등은 7.3년, 수도권은 7.6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소득별로 나누어 본다면 평균적으로 소득 하위 가구는 7.9년, 소득 중위가구는 6.8년, 상위 가구는 6.5년으로 소득이 높아질수록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가 짧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주택 가격 대비 대출금 비율(LTV)

구입 당시 주택 가격 대비 주택대출금 비율(LTV1)은 2018년 전국 평균 37.8%로 2017년(38.2%)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으며, 현재 주택가격 대비 주택대출금 비율(LTV3)도 2018년은 29.4%로 2017년(28.9%)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습니다.

최초 주택구입 당시 대출금 비율은 높았지만 현재 주택 가격 대비한 주택대출금 비율이 약 30%로 집값이 상승한 것과 대출규제의 영향으로 부채가 관리되고 있음 알 수 있습니다.

 

* 부자아빠의 부동산연구소(네이버블로그 링크) 이웃추가 및 소통환영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