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거실태조사' 태그의 글 목록 :: 부자아빠의 부동산연구소

안녕하세요? 부자아빠의 부동산연구소에 부빠입니다. 오늘은 어제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투자를 하시거나 내집마련을 할때 이러한 자료들을 왜 살펴보냐고 하시겠지만 의외로 이런 자료들이 부동산 인사이트를 키우는데 탄탄한 기본기를 만들어줍니다.

 

그래서 저는 이런 자료들을 기본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즐깁니다. 관심이 없으셨더라도 한번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거실태조사는 국토교통부에서 2019년도 6월에서 12월의 표본 6만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국민들의 주거수준을 확인하는데 있습니다.

 

주거실태조사를 통해서 정부의 주거복지로드맵을 설정하고 국민들에게 필요한 주거정책을 만들어나가는데 쓰임이 있습니다.

 

이제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주거 안정성

 

주거 안정성에서 눈여겨 봐야할 것은 자가 점유율과 자가보유율입니다. 자가 점유율은 본인의 집에서 직접 거주하는 형태를 의미하며 자가보유율은 주택을 보유한 가구를 의미합니다.

 

자가 점유율은 2014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06년 이후 최고치인 58%를 기록하고 있는데요, 수도권은 약 50%의 자가점유율을 보여주고 있고, 광역시는 60.4%, 그외 도지역은 68.8% 나타내고 있습니다.

 

자가보유율 역시 2014년 58%에서 61.2%로 증가하여 '0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수도권의 경우에는 54.1%, 광역시는 62.8%, 그외 도지역은 71.2%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자가점유율과 자가보유율은 도시지역일수록 낮은 경향이 있는데요, 자가점유율과 보유율이 낮다는 것은 투자관점에서 본다면 매매수요로 전환될 수요자가 많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어 참고하시면 좋은 자료입니다.

 

점유형태의 경우 자가는 58%, 월세 19.7%, 전세 15.1%를 보이고 있네요.

 

 

2. 주거비 부담

 

가구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로 가구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이하 PIR)은연평균소득을 반영한 특정지역이나 국가 평균수준의 주택을 구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가구소득수준을 반영해 주택가격의 적정성을 나타낼때 사용하는 지수인데요, 예로 PIR이 10이라면 연평균소득을 10년동안 한푼도 쓰지 않고 모두 모아야 집 한채를 살 수 있단 뜻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기존에 포스팅자료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국토교통부에서도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배수를 조사하였는데요, 전국적으로는 5.4로 조사되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6.8배, 광역시 5.5배, 도지역 3.6배로 나타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도시지역의 집값이 비싸다보니 PIR이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조사하는 기관에 따라 PIR산출기준이 달라 값이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KB부동산과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인용하는 편인데요, 조사기관에 따라 부동산 가격을 평균으로할지 중위값으로 할지에 따라 다르고 연봉도, 중위값으로 할지 단순 가구소득으로 할지 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PIR로는 비교가 어렵고 이를 구체화해서 동일 또는 유사입지내에 아파트의 가격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국토부 발표자료에 의하면 2018년보다는 2019년이 PIR이 낮아졌다고 하는데요, 조금은 의아하긴 합니다. 전국적으로 집값이 많이 오른상태라 PIR 커졌을 것 같은데 말이죠..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 연수는 '06년 약 8년에서 '19년은 6.9년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3. 주거이동 및 주택보유의식

일반 가구는 평균적으로 7.7년을 거주하며 자가가구의 경우는 10.7년 임차가구의 경우 3.2년을 거주하며 이사를 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도지역은 10년, 광역시는 7,4년, 수도권은 6.3년으로 도시지역일 수록 현재주택에 평균거주기간이 낮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거이동(이사)이유는 시설이나 설비 상향(신축), 직주근접, 내집마련 순으로 응답하였습니다.

 

또한, 가구주의 연령이나 가구의 소득이 높을 수록 주택 보유의식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즉,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주택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습니다.

 

 

4. 주거수준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는 '14년 이후로 5~6%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19년에는 5.3%인 106만 가구가 최저 주거기준 미달가구로 조사되었습니다.

 

최저거기준이란주택의 면적이나 방 개수, 채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최소한의 주거 조건`을 정해놓은 것. 예를 들어 4인 가구는 `주거면적 43㎡에 방 3개`를 최저 기준으로 잡고 있습니다.

 

1인당 주거면적은 32.9㎡로 '18년 31.7㎡ 대비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이외에도 현재의 주거지원 정책수요 및 평가와 특성가구(청년,신혼부부,고령가구)별 주거실태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부자아빠의 부동산연구소(네이버블로그 링크) 이웃추가 및 소통환영합니다.

 

안녕하세요? 부자아빠의 부동산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작년에 발표한 2018년 주거실태조사 보고서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주거실태조사는 국민들의 주거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가구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어 부동산 공부에 유용하게 작용합니다.

주거실태조사는 연1회하며, 전년도 자료는 다음 해 중순쯤 나오기 때문에 지금은 2019년 자료는 여름이 되어야 나오고, 2019년 여름에 발표된 2018년 주거실태조사 보고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내용이 방대하므로 1부와 2부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 지역별 가구비율

2018년도 기준으로 우리나라 인구는 약 5180만 명이며, 가구수는 약 2천만 가구입니다. 평균 가구원수는 2.4명이며 1인 가구수는 585만 명으로 전체 비율 중 약 30%를 차지합니다. 

전체 가구 중 지역별 가구 비율을 살펴보면 전체 가구의 약 48%가 수도권에 밀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수도권 전체 인구는 약 2,600만 명으로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산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소득 구분 및 소득별 가구 비율

소득 구분은 가구의 총소득으로 세금 등을 제외한 월평균 실수령액이며, 근로 및 사업소득, 재산소득, 사회보험 수혜금, 정부 보조금, 사적 이전소득 등이 포함됩니다.

2018년도 자료이므로 2017년 1월에서 12월까지의 월평균 금액을 조사한 결과이며,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위 5 분위 평균 급여는 월 270만원, 연 3,240만원이며 5분위 최저 기준인 241만 원 미만인 가구는 전체에 약 40%를 차지합니다. 하위 1~4 분위와 상위 9~10 분위 연 급여는 약 2배가량 차이가 납니다.

 

★ 주택 점유형태

전국의 전세가구는 감소하며, 월세가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도별로 본다면 수도권은 자가 비율이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며, 광역시 및 도지역은 자가비율이 높으며 전세가가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전체 가구의 주택유형은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가 가장 많으며,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0년 전인 2006년도에 에 비해 확연히 단독주택 거주 가구가 감소했습니다.

모든 지역에서 아파트의 거주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소득별 주택유형을 살펴보면 소득 하위 가구일수록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고 소득 상위 가구일수록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2018년도 기준으로 소득 하위 가구가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은 50.6%,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은 29.5%인 반면, 소득 상위 가구는 각각 14.5%, 74.7%를 보이고 있습니다.

 

★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

생애최초로 주택마련을 하는 평균 소요연수는 7.1년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도지역은 6.3년으로 가장 짧았고, 광역시 등은 7.3년, 수도권은 7.6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소득별로 나누어 본다면 평균적으로 소득 하위 가구는 7.9년, 소득 중위가구는 6.8년, 상위 가구는 6.5년으로 소득이 높아질수록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가 짧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주택 가격 대비 대출금 비율(LTV)

구입 당시 주택 가격 대비 주택대출금 비율(LTV1)은 2018년 전국 평균 37.8%로 2017년(38.2%)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으며, 현재 주택가격 대비 주택대출금 비율(LTV3)도 2018년은 29.4%로 2017년(28.9%)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습니다.

최초 주택구입 당시 대출금 비율은 높았지만 현재 주택 가격 대비한 주택대출금 비율이 약 30%로 집값이 상승한 것과 대출규제의 영향으로 부채가 관리되고 있음 알 수 있습니다.

 

* 부자아빠의 부동산연구소(네이버블로그 링크) 이웃추가 및 소통환영합니다.

+ Recent posts